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월세 전환율 계산 (법정/시장)

반응형

전세나 월세 계약을 하다보면 집주인이 전세에서 월세로,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는 케이스가 있는데요

저도 계약하고자 하는 집의 집주인께서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는 시점에 전세로 계약한 적이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어떤 것을 기준으로 보증금이나 월세 가격을 정하게 되는 것일까요?

 

시장 전월세 전환율을 바로 계산하고 싶다면 아래 계산기를 활용하면 되겠습니다

전월세 전환율을 기반으로 전세 -> 월세 혹은 월세 -> 전세 케이스에서 전세보증금이나 월세보증금/월세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전월세 전환율

전세에서 월세로,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월세 전환율을 적용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보통 전세계약을 맺었던 집에 대해 집주인이 월세로 전환하려고 할 때, 전월세 전환율을 전세 보증금에 적용해서 월세를 결정합니다. 즉, 전세를 월세로 바꾸고자 할 때 얼마나 많은 월세를 받을지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 전월세 전환율입니다.

 

법정 전월세 전환율

법정 전월세 전환율은 기준금리 + 2%로 정해지며, 지금은 3.25 + 2 = 5.25% 가 되겠습니다. (2024-10-31 기준)

법정 전월세 전환율은 실제로 적용되는 시장 전월세 전환율과 다릅니다. 지역이나 부동산 물건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시장 전월세 전환율 계산

시장 전월세 전환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시장 전월세전환율 = ((월세*12)/(전세보증금-월세보증금))*100 [%]

만약, 월세보증금은 1000만원이고 월세는 100만원이며 전세보증금이 2.5억원이라면 시장 전월세 전환율은 5%입니다.

((100*12)/(25000-1000))*100 = 5%

 

계산이 귀찮다면 위에 공유드린 계산기를 사용해도 좋겠습니다

결론

전월세 전환율을 계산해서 월세가 유리할지 전세가 유리할지 결정할 수 있는 보조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데요

전세 vs 월세의 유불리를 따지려면 각자의 상황에 맞게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